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신입
- MONGOOSE
- 개인프로젝트
- 공부
- 회고
- Next.js 13
- 개발자 이력서
- 구상
- s3 bucket
- Next.js
- 기획
- TypeScript
- 신입 개발자
- aws s3
- 개인 프로젝트
- 개발
- 프론트엔드
- 신입 프론트엔드
- 삶
- 이력서
- 계획
- react
- Javascript
- CSS
- 캐플라이어
- 백엔드
- 대학졸업
- 신입 이력서
- Today
- Total
개발 마라톤
[React] 수정 및 컴포넌트 작성과 props 작성 본문
3. 소스코드 수정 방법
src → index.js 가 메인 화면

<App /> 은 무엇인가? 해당 태그는 import App from './App' 에서 온 함수이다. 즉, ./App 파일(App.js)에서 불러온 App함수이다.

보면 알겠지만, html형태의 코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tml 코드 처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import './App.css'에서 스타일 정보를 받아온다.
개발자 모드로 사이트를 확인하면 기본 정보들이 작성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기본 정보들은 public 폴더 → index.html 에 저장되어 있다.
터미널 종료 : 터미널에서 Ctrl + C
빌드는 종료된 터미널에서 npm run build 후에 build 폴더에서 빌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npx serve -s build 를 통해 빌드 폴더로 서버를 열 수 있다.
4. 컴포넌트 만들기
React는 사용자 정의 태그를 만드는 것이 본질이다. ( <App /> 과 같은... )
사용자 정의 태그는 곧 함수를 만드는 것이다.

사용자 정의 태그의 맨 앞 문자는 반드시 대문자여야 한다.

return 값을 html 코드로 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자, 이제 사용자 정의 태그는 컴포넌트 라고 부름을 기억해두자.
컴포넌트는 이제 다른 함수에서 <Header></Header> 형식으로 사용된다.

원래의 App() 내용을 각각 함수로 작성해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짧게 만들었다.
기존 HTML 코딩과 다르게 함수를 이용하여 많은 부분을 빠르게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 바로 React의 본질이다.
5. props
변수 선언에 대한 내용도 포함시켜 놓았다.
HTML은 태그에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제 React의 컴포넌트에 속성과 같은 개념인
PROP을적용하려고 한다.

함수에 인자로 props를 적어 넣은 후, 컴포넌트에 속성처럼 작성한 것이 props가 된다.
props는 해당 함수 안에서 변수처럼 사용가능 한데, 이때 중괄호 {} 안에 props를 적어주어야 한다. 중괄호는 이제 props 뿐만 아니라 변수를 쓸때 같이 쓰이게 된다.
또한, props자체를 쓰는 것이 아니라, props.설정이름 으로 사용한다.

변수는 const, let, var을 통해 정의한다. 또한 리스트(배열)은 대괄호 []로 정의한다.
* 추가적인 설명을 하겠다. var은 ES6이전의 과거 변수 정의 방법인데, var a = 1; for(var a = 2; a<5; a++){} // 최종적으로 a == 5 같은 중복 선언이 가능하여 값이 더럽혀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let은 변수 재할당이 가능한 mutable한 변수이고, const는 변수 재할당이 불가능한 immutable한 변수이다(const t = ''; t='a'; 같은 것이 불가능. 리스트의 경우 push같은 함수를 이용한 변경은 가능). let, const는 var과 다르게 코드 블록내에서만 유효하여, 블록이 다르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리스트 또한 props로 줄 수 있으며, 변수이기 때문에 중괄호 {리스트명}를 포함하여 전달한다.
전달된 리스트 props는 props.리스트명 으로 일반 리스트처럼 사용할 수 있다.
'--- Front-end ---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생성, 수정, 삭제 기능 구현 (0) | 2023.01.04 |
---|---|
[React] 이벤트와 state (0) | 2023.01.03 |
[React] React란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