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캐플라이어
- TypeScript
- MONGOOSE
- 개인 프로젝트
- CSS
- 신입
- Next.js 13
- 프론트엔드
- Next.js
- s3 bucket
- 개인프로젝트
- 이력서
- Javascript
- 신입 개발자
- 대학졸업
- 회고
- 신입 이력서
- 개발자 이력서
- 개발
- 공부
- 삶
- react
- 신입 프론트엔드
- 백엔드
- 계획
- 구상
- aws s3
- 기획
- Today
- Total
개발 마라톤
9/25 - margin : auto 본문

margin : auto에 대해서
block 요소에서의 auto
<p> 태그와 같이 텍스트를 적기 위한 block은 padding을 사용하여 내부 여백을 조정한다.
이와 다르게 내부 요소말고 외부에서 가운데 정렬할 수 있는 방법은 display : flex 등이 있다.
그리고 margin을 통해서 요소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margin : auto이다.
( padding은 auto 값을 사용할 수 없다. )
[Css] margin auto, 중앙정렬하기 :: hansol.cha (tistory.com)
[Css] margin auto, 중앙정렬하기
margin: 0 auto; 위는 대표적인 중앙정렬 속성이다. 그런데 어떻게 동작되길래 중앙정렬이 되는 것일까? 1. '0'여기서 0값은 위 아래 여백을 주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즉, margin: __;에서 __값은 좌우위아
hansolcha.tistory.com
윗 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margin에서는 padding과 다르게 auto 값을 활용하여 가운데 정렬을 사용할 수 있다.
margin - CSS: Cascading Style Sheets | MDN (mozilla.org)
MDN에서도 예시를 살펴볼 수 있다.
해당 문서에서는 이를 수평 정렬 하는데 사용하라고 하고, 수직정렬과는 관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으로 flex를 지원하지 않는 옛날 브라우저의 문서에서는 margin : 0 auto;를 통한 수평 정렬을 추천하기도 한다.
flex 요소에서의 auto
margin : auto는 display : flex 의 레이아웃에서도 사용가능하다.
[CSS] flexbox로 만들 수 있는 10가지 레이아웃 (tistory.com)
[CSS] flexbox로 만들 수 있는 10가지 레이아웃
전체적인 정렬이나 흐름에 관련된 속성 flex container 자식 요소의 크기나 순서에 관련된 속성 flex item flexbox를 활용한 10가지 레이아웃 사례 이 레이아웃은 기존의 display 속성이나 float 속성, position
jmjmjm.tistory.com
윗 글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기존의 margin : 0 auto; 와 같이 수평 가운데 정렬을 사용하는데도 물론 사용 가능하며,
margin-left : auto; 나 margin-right : auto; 와 같이 양 쪽으로 정렬을 사용하는데도 사용이 가능하다 ! ( 수직 방향도 물론 OK )
이는 flex item만의 레이아웃 구성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고, 잊지않으면 꼭 유용하게 사용가능할 것 이다.
'--- Project --- > CharFlyer : 캐플라이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8 - useState와 useRef (0) | 2023.09.28 |
---|---|
9/26 - Next.js 페이지 라우팅 (0) | 2023.09.26 |
9/24 - 의도한 스타일 만들기 (0) | 2023.09.24 |
9/22 - React의 요소 관리 - 재렌더링과 Virtual DOM (0) | 2023.09.23 |
9/20 - 부모보다 큰 자식 나열하기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