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ext.js 13
- 백엔드
- Javascript
- 기획
- 프론트엔드
- 계획
- 공부
- 이력서
- 대학졸업
- 개인프로젝트
- MONGOOSE
- aws s3
- TypeScript
- 신입
- 삶
- 구상
- Next.js
- 신입 개발자
- 신입 프론트엔드
- s3 bucket
- 신입 이력서
- react
- 개인 프로젝트
- 캐플라이어
- 개발자 이력서
- 회고
- CSS
- 개발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1)
개발 마라톤
이번에 Notion을 통해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 이력서를 작성해보았다. 구글로 개발자 이력서 팁이나 다른 분들의 이력서를 찾아보니 개인 사이트로 작성하시는 멋있는 분들도 계셨는데, 많은 분들의 이력서를 확인하니, 폼이나 내용이 겹치는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프론트엔드, 백엔드 개발자의 경우 보편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Notion으로 스타일리쉬하고 직관적이게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이력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은 듯 했다. 많은 이력서 팁과 다른 분들의 이력서를 참고하여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를 희망하는 나의 이력서를 작성해 보았다 .. ! https://candle-open-b21.notion.site/57f7175032124c4c80150145f54ecb0a?pvs=4 이주영 ― 빛을 찾는 개발..

오늘은 개인프로젝트인 캐플라이어에 대한 중간 회고를 해보려고한다. 벌써 기획까지 포함해서 약 2달이 되어가니, 계획한 시간대로 진전시키기가 여간 쉽지가 않았다 ㅠㅠ. 그래서 중간회고를 진행해보려고 한다. 지금의 결과는 어떤지,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문제라고 할 수 있는 것 인지. 내가 잘 학습하면서 하고 있는 것 인지. 나의 취준 기간은 길어지고 있고, 조급해하면 안된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렇지만 나의 계획에 맞게 일을 진행시킨다는 것은 곧 중요한 역량이 될 것이고 그러한 내용도 포함하여 고민했던 내용들을 글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중간 결과 [계획] 캐플라이어 프로젝트 계획표 (tistory.com) [계획] 캐플라이어 프로젝트 계획표 UX/UI 구상을 먼저하려고 했으나, 생각만으로는 계획 시간이..

정규식 사용 이번에 회원가입 정보입력 란에 정규식을 포함해야하기 때문에 정규식에 대하여 찾아보았다. 백엔드 부분에서도 정규식을 포함시킬 수 있으나, 우선은 프론트 단에서 진행시키기로 하였다. ( 나중에 적용된 정규식 표현을 가져가서 백엔드에서 사용 가능 ) 정규 표현식 - JavaScript | MDN (mozilla.org) 정규 표현식 - JavaScript | MDN 정규 표현식, 또는 정규식은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 조합을 찾기 위한 패턴입니다. JavaScript에서는 정규 표현식도 객체로서, RegExp의 exec() (en-US)와 test()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ring의 match() developer.mozilla.org 정규식의 기초적인 내용은 위의 MDN 문서에 잘 정리..

input에서는 useState와 useRef를 어떨때 사용해야 할까? useState – React useState – React The library for web and native user interfaces react.dev state란 동적인 데이터를 다루며, 값이 변경되면 컴포넌트를 재렌더링 시키는 변수이다. useState는 기본적으로 이런 React의 동적인 상태를 다룰 때 사용한다. 즉, 컴포넌트의 동적인 변화인 재렌더링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어떤 요소를 클릭할 때 새로운 요소를 띄울 때는 재렌더링이 필요하므로 이때는 useStat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가적으로 state값은 재렌더링이 필요할 때 사용하며, 이는 재렌더링 후에 state 값이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실..

Next.js Routing 하기 [Next js] Route 이해하기 (velog.io) [Next js] Route 이해하기 React 프로젝트를 Next js로 마이그레이션 하면서 느꼈던 차이점은 라우팅하는 방법이였다. Next js는 pages 폴더 내의 폴더, 파일명으로 자동으로 path가 설정되기 때문에 이를 먼저 이해하고 디렉토리 velog.io 윗 글을 참고하여 정리해보았다. 방법 설명 next/link 컴포넌트 import Link from 'next/link; 를 통하여 라우팅 할 수 있다. next/router 모듈 import { useRouter } from 'next/router'; const router = useRoute(); 를 통하여 라우터를 만들 수 있다. router...